검색어를 입력해주세요

추천검색어

메뉴 건너뛰기

Sustainability 환경안전보건

환경안전보건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환경을 위해 현대케피코는 노력합니다.

현대케피코는 임직원 모두 안전하고 건강하게
근무할 수 있는 환경과 체계 구축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무재해를 목표로 안전보건활동을 추진하며, 자율적이고 선제적인 안전관리문화 정착을 위해 안전보건방침을 수립하여 중장기적 개선방안을 이행하고 있습니다.

비전 무사고/무재해 달성

선진 안전보건환경 관리체계 구축, 안전문화 정착

방침
  • 안전보건환경 법규준수

    안전보건환경관련 법규와 기타 규제 등 요구사항 준수

  • 유해위험요소 최소화

    유해위험요소 최소화로 안전하고 쾌적한 사업장 조성

  • 자율실행/지속개선

    안전보건환경 기획, 실행, 평가 등 전 단계에서 임직원 자율적 실행과 지속적 개선

  • 투명성 관리

    이해관계자에게 안전보건환경 방침 및 성과 등 정보공개를 통한 기업 신뢰성 향상

혁신과제
  • 평가체계 /
    책임안전 정립
  • 사전 사고예방
    활동 강화
  • 안전보건환경
    관리시스템 표준화
  • 안전문화 정립
주요활동
  • 안전보건

    안전보건시스템

    • 산업안전보건위원회 운영
    • ISO45001 인증/운영

    안전점검

    • 최고경영층 위험장소 점검(매월)
    • 안전점검의 날 운영(매월)
    • 연휴/태풍/동절기/혹서기 특별점검

    안전문화 장착

    • 임직원 참여 안전보건개선활동
    • 비상대응계획 수립 및 훈련
  • 환경

    온실가스 에너지 저감

    • 온실가스 배출권 감축, 배출권
      거래제 운영
    • 에너지관리 분과제도 운영

    오염배출 방지시설운영

    • 방지시설 정도검사 실시
    • 효율성 제고 : 정기점검 및 보수

    화학물질 관리

    • 유해화학물 대체물질 전환
      (예 : 유연→무연납)
    • 화학물질 도입 사전
      평가절차운영
  • 제품 내 유해물질 관리
    • 국제환경규제(ELV,REACh 등) 선제 대응
    • 자체 물질정보관리시스템(IT) 구축
    • 제품 내 유해물질 성분 검사
윤리경영위원회에서는 윤리경영위원장이 윤리경영 실천사무국(인사팀소속)에게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윤리경영 정책수립 및 교육을 실시함. 첫째 윤리규범 및 실천지침 개정/폐지 발의. 둘째, 윤리경영교육 실시. 셋째, 위원회 운영 관련 제반업무. 또한 윤리경영위원장이 윤리 감사 및 평가(경영개선팀)에서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윤리 감사 또는 징계 관리함. 첫째, 윤리감사. 둘째, 윤리 의식수준 조사(협력사 포함). 셋째, 윤리위반자의 징계 발의

*MDS : Material Data Sheet *G-BOM : Green Bill Of Material

윤리경영위원회에서는 윤리경영위원장이 윤리경영 실천사무국(인사팀소속)에게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윤리경영 정책수립 및 교육을 실시함. 첫째 윤리규범 및 실천지침 개정/폐지 발의. 둘째, 윤리경영교육 실시. 셋째, 위원회 운영 관련 제반업무. 또한 윤리경영위원장이 윤리 감사 및 평가(경영개선팀)에서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윤리 감사 또는 징계 관리함. 첫째, 윤리감사. 둘째, 윤리 의식수준 조사(협력사 포함). 셋째, 윤리위반자의 징계 발의

*MDS : Material Data Sheet *G-BOM : Green Bill Of Material

IMDS(International Material Data System)으로 국내 및 해외 협력사와 글로벌 완성차를 관리해주며, INTERFACE(MDS-AI)로 다음과 같은 물질정보 관리시스템을 운영한다.

1. 전주기 물질정보 관리/검증

  1. MDS 검증
  2. 부품 검증
  3. G-BOM 구성
  4. 개발품 검증
  5. 양산품 검증
  6. 4M 검증

2. 데이터 베이스

  • 물질
  • 규제
  • BOM
  • 물량계획
  • 업체정보
  • 부자재
  • 적용시점
탄소 중립
목표
목표 : 재생에너지 100% 전환(RE100) 등 탄소 감축을 통한 ’45년 탄소중립 달성. 2019년(Baseline) 기준 약 2.8만톤 배출 → ’45년 탄소중립 달성 / 
                              현황·계획 : 탄소 배출 현황 : 28.1k ton (’19년 기준), SCOPE 1 -> 4,131 ton – 15% · 직접배출 - 화석연료 소모 - 연구실험(1%), 차량운행(4%), 보일러운영(95%), SCOPE 2 -> 23,963 ton 85%  · 간접배출 – 전기/스팀 소모 (외부 화석연료 활용) - 전기사용 (100%) 사무실 등 건축물 사용(조명, PC, 서버), 연구 실험실 운영 (실험장비 사용), 생산라인 운영 (라인 가동), 전사 유틸리티 운영 (공조 등) / 탄소 감축 계획 - 배출량 산정기준 : 국내, Scope1/2 限. ’19(기준) - 28.1k, ’30(목표) - 19.7k(30% 감소), ’40(목표) - 2.8k(90% 감소), ’45(목표) - Net-0(100% 감소) / 실행 방안 : Scope1 – 직접배출 (화석연료) - 신규 설비 구축을 통한 에너지 효율화 - 냉난방 절감 활동 추진, Scope2 – 간접배출 (전기) - 전사적 에너지 절감 활동 추진 - 노후 설비 교체를 통한 에너지 효율 제고 - 부족분은 REC 구매/PPA 참여를 통해 확보
환경 실적
데이터

현대케피코는 비즈니스 활동으로 인한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클린사업장 리더’라는 비전 아래 친환경 경영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생산∙경영활동의 필수 자원인 전력과 용수,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와 폐기물까지 전 과정을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 국내 사업장 기준 )

주요 실적 데이터
구분 단위 2020년 2021년 2022년
에너지사용량 MWh 46,105 44,590 44,646
온실가스 배출량 Scope1 tCO2e 4,188.023 3,752.640 3,731.791
Scope2 tCO2e 21,496.739 20,485.183 20,511.043
수자원 사용 총량 111,251 111,267 107,427
폐수 배출량 10,452 15,206 12,035
폐수처리 수질현황 TOC
(2020~2021년은 COD기준)
0.046 0.055 0.025
SS 0.012 0.038 0.012
대기오염 물질관리 NOx 2.138 4.742 3.848
SOx - - 0.151
먼지 1.935 0.770 0.584
폐기물 배출량 일반폐기물 570.673 516.535 424.711
지정폐기물 63.918 53.487 63.920
폐기물 재활용량 544.371 418.612 316.201
맨 위로